티스토리 뷰
CVS, SVN 등과 비슷한 개발협업의 버전관리등을 위한 Git을 사용해보기로 했다. 이래저래 고민하다가 티스토리 스킨을 관리해보기로 하고, IDE는 Aptana3로 Git 서버는 Github를 사용하기로 결정. Github에서 가입하고 Repository 를 만드는건 쉽게 했는데, Aptana2로 연결하는게 생각처럼 쉽지는 않았다.
그래서 사용한 방법이 Github와 Master Repository를 만들고 초기 설치는 오리지널 git 프로그램으로 하고, 그뒤에 설정된 Repository를 Aptana에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로 한다.(Aptana는 이클립스 계열이므로 아마 이클립스에서 연결하는 방법도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요점만 추려보면
- Github 가입
- Aptana 2/3 (http://aptana.org/) 설치
- 포터블 git (http://git-scm.com/download) 다운로드 - Aptana 3 에서는 필요없다
- git 로 Repository 설정
- Aptana 에서 Import
이렇게 하면 Aptana로 Git을 이용할 수 있다. 처음에 윈도우7 상의 Aptana2 에서 먼저 테스트 해보고, 다시 윈도우XP 상의 Aptana3 에서 테스트 후 정리한 내용들이다.
1. 기본 준비 사항
일단 Github에 가입한다. 로그인 뒤에 Repository를 Add 해둔다.
Aptana 2/3 를 다운받아서 설치한다. 버전 차이는 3가 좀 더 가볍고 필요한 플러그인들이 더 준비되어 있다. 하지만 UI와 기능들이 정리가 덜 된 느낌이 있다. Aptana 2는 설치 뒤에 플러그 인중에 eGit을 설치해둔다. git 관련 기능이나 import를 위해서 설치한다.
다음은 git을 설치한다. 인스톨 하는 버전도 있지만 포터블이 편할거 같아서 설치했다. 윈도우용 msysgit 버전을 다운받으면 된다. Aptana 3 경우 설치 완료시 git 포터블을 설치를 물어보는 단계가 나온다.
일단 기본 사항 완료!
2. git 으로 Repository 설치
포터블 git을 보면 윈도우 쉘이나 Bash 쉘을 선택해서 구동할 수 있다. Bash 쉘을 사용하길 권장한다. 윈도우 쉘 경우 거의 마무리 단계에서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다.
먼저 ssh 공개키를 만들어 두어야 한다. Aptana 내부에도 ssh 관련 기능들이 있긴 하지만 git 에서 만들어서 Aptana 에서 연결하는 것이 편하다.
http://help.github.com/msysgit-key-setup/
위 과정으로 윈도우 사용자 디렉토리내에 .ssh 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된다. 그리고 이곳에 known_hosts, id_rsa, id_rsa.pub 등이 생긴다. 키 등록은 id_rsa.pub에 있는 코드를 사용하게 된다.
github에 새로 생성한 Repository로 가면 초기 세팅에 관한 글이 먼저 뜬다. Repository에 처음 push 하기 전까지는 계속 볼 수 있다. ssh키 등록을 한 쉘을 그대로 쓴다. 먼저 컴퓨터 상에서 Repository로 쓸 디렉토리를 만든다. 그리고 해당 디렉토리로 들어가서 git init 부터 파일 생성까지 그대로 써준다. commit, remote add, push 까지 다 써준다. github를 origin으로 세팅 컴퓨터 Repository를 master로 세팅하는 작업들도 있다.
여기까지 성공적으로 끝났다면 일단 디렉토리를 git Repository 환경으로 만들어 둔것이다.
이곳에 나오는 것 처럼해서 만들면 된다. 만들어진 키는 github 사이트 > Account Settings > SSH Public Keys 에 등록하거나, 해당 Repository > Admin > Deploy Keys 에 등록시켜주면 된다.
Aptana에서 import 하기 전에 아까 생성한 .ssh 디렉토리에 config 파일을 만들어두어야 한다. 이게 없으면 Aptana에서 제대로 인증이 안된다.
http://help.github.com/troubleshooting-ssh/
이곳에 SSH config 항목에 어떻게 만들라고 잘 나와있다. 마지막 줄만 IdentityFile ~/.ssh/id_rsa 로 지정해주면 된다.
3. Aptana Import
Aptana 내의 ssh 및 git에 대한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window > preferences > ssh2 관련 설정패널에서 SSH2 home 의 경로를 이전에 만들어둔 "사용자 디렉토리/.ssh" 로 바꿔준다.
window > preferences > git 관련 설정에서는 configuration 에 key값을 등록하나. git 작업중에 user.email, user.name 등록해주는것과 비슷하다.
이제 메인메뉴에서 file > import를 선택한다. git repository를 가져오는 것이 있다. 선택하면서 새 프로젝트를 만들면서 import 하는 옵션이 있다. 프로젝트 디렉토리는 이전에 작업해둔 디렉토리에 맞춘다. 대략 설정을 마치고 나면 Work Space나 App explorer 쪽에 관련 프로젝트와 내부 데이터들이 보인다.
먼저 git에서 했던 작업을 해본다. 파일을 생성하고 Commit 그리고 Push를 해본다. 별 에러가 없다면 성공한것이다.(보통 ssh관련된 인증실패로 에러가 많이 난다.)
'O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P PDF 라이브러리 (0) | 2010.12.23 |
---|---|
PHPMailer 와 RWAPM sendmail 설정 (0) | 2010.12.20 |
ASP CINT 사용시 제한 (0) | 2010.09.28 |
우분투 설치하기 10.04 LTS (0) | 2010.08.06 |
IE 브라우저에 Mootools Drag'n Drop에 문제가 있다면... (0) | 2010.07.29 |
- Total
- Today
- Yesterday
- epel
- 업데이트
- 설치
- 자바스크립트
- Repository
- buffer-size
- css
- deltaforce
- 노바로직
- ajax
- php
- IE
- 리눅스
- castle
- mootools
- javascript
- 게임
- 무툴즈
- 델타포스
- swfupload
- 모듈 경로
- novalogic
- 보안
- 캐슬
- 버퍼문제
- kisa
- 버퍼사이즈
- NODE_PATH
- rwapm
- Styl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