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요새 아파치외 웹서버를 사용하다 보니 로그에 출력시 버퍼가 모자라서 웹서버가 에러가 나는 경우가 발생했다. 503 오류가 생기는거 같은데 앞으로 웹서버 설정시 기본적으로 체크해봐야할 항목이 될 듯하다.


오류는 두 가지 웹서버?에서 나왔는데 Nginx 와 Django 웹어플 구동을 위해서 돌렸던 uwsgi 이렇게 두가지에서 발생했다.

uwsgi

Python으로 구동되는 웹어플을 운영할때 사용하는데 Django와 Flask에서 사용한다. 버퍼 부족 오류가 날때 다음과 같이 한다. 해당 uwsgi의 ini 파일을 열고 buffer-size를 조정한다. 디폴트가 4096 으로 잡혀 있는데 65535 까지 증가시키면 된다.

[uwsgi]
chdir = ...
module = config.wsgi
master = true
socket = /tmp/....sock
chmod-socket = 666
buffer-size = 65535

참고 : http://uwsgi-docs.readthedocs.io/en/latest/ThingsToKnow.html

nginx

버퍼 부족 오류 시 다음과 같이 한다. 대상이 되는 서버의 conf 파일을 열고 client_body_buffer_size 를 설정해 준다.

server {
    ...
    client_max_body_size 1024M;
    client_body_buffer_size 4096K;	
    ...
}

client_max_body_size 는 초기에 설정했던 내용.


부록

이거 외에 php cli에 execution timeout 이 자꾸 걸리는 경우가 있었다 환경은 nginx + php-fpm 설치시 cli 인데 디폴트로 약 5분정도 걸려있었는데 0으로 수정해주면 timeout 이 없어진다. 두군데 고쳤는데 어딘지 기억이 안남; 아마 ini 나 cfg 같은 곳일 수 있음.



'New > 시스템(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6.7 VM 설치  (0) 2016.04.13
CentOS Yum Repository 확장(추가)  (0) 2016.04.13
리눅스 명령어들  (0) 2014.08.24
NGINX + PHP-FPM 사용시 오류 발생 #1  (0) 2012.12.30
node.js 설치시 path 설정  (0) 2012.12.26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